국민의당, 호남 경선 시작... 26일 전주서 현장투표
국민의당, 호남 경선 시작... 26일 전주서 현장투표
  • 고주영
  • 승인 2017.03.23 1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실내체육관 등 도내 14개시군 18곳에 투표소 설치... 만 19세 이상 누구나 가능

국민의당의 향후 경선 판도를 결정지을 호남지역 경선이 시작된다.

국민의당은 오는 25일 광주·전남·제주 경선을 시작으로 26일 전북을 거쳐 전국 7개 권역을 돌며 현장투표을 진행할 예정이다.

7번의 현장투표로 1∼3위를 정한 뒤 4월3일부터 4일 오후 1시까지 무작위 진행될 전국 여론조사 결과를 합산해 최종후보를 확정할 예정이다.

반영 비율은 현장투표 80%, 여론조사 20%다.

특히 국민의당은 이번 경선에서 선거인단 없이 투표소에 오는 만 19세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가능한 ‘현장투표’ 방식을 도입했다.

전북은 전주실내체육관을 비롯한 14개 시군, 18곳에 투표소가 설치되며 신분증을 소지한 투표권을 가진 일반 국민이면 누구나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현장투표가 가능하다.

이에 국민의당 경선후보들은 이번 호남 경선이 향후 판도를 좌우할 수 있다는 생각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또전날 광주·전남·제주에서 시작해 두 번째 날 실시되는 전북지역 경선이 호남지역에 기반을 둔 국민의당 경선 흥행몰이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국민의당에 따르면 국민의당 전체 당원은 18만여명이며, 호남에는 그 절반 수준인 9만여명의 당원이 있다.
전북에는 3만여명의 당원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민의당은 이번 호남 경선에서 10만명 가까운 주민이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의당 대선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오는 25일과 26일 순회경선을 치르는 호남에 ‘올인’하고 있다.

먼저 국민의당 대선 후보인 안철수 전 대표는 23일 오전 전남 목포 김대중 노벨평화상기념관에서 '호남 발전' 공약을 발표했다.

안 전 대표는 "인사와 예산에서 소외됐던 호남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지역격차라는 불공정을 없애고 공정한 경제발전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호남 특성에 맞춘 선택과 집중식 지역발전을 비롯해 호남의 사회·문화·산업인프라 활용과 미래성장산업 중점 개발을 지역발전 방향성으로 내세운 뒤, 구체적 공약으로는 광주전남·전북·전남북공동체로 세분된 '호남 미래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전북 미래프로젝트 세부안으로는 글로벌 탄소밸리와 식품농업단지 조성, 새만금 인프라 구축이 거론됐다.

손 전 대표와 박 부의장은 이날 오후 전남 보성군 문화예술회관에서 국민의당 전남도당이 주최하는 대선기획단 발대식에 나란히 참석했다.

손 전 대표는 이어 전남과 광주를 비공개로 오가며 경선을 앞두고 조직을 점검했다.

박 부의장도 이날 광주 조선대학교에서 '지역균형발전·지방분권형 헌법 요구 범시민대회'에 참석한 후 광주와 전북 순창을 넘나들며 표심 잡기에 주력했다.

이와 함께 후보들은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직동원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안 전 대표는 지지자들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당원’을 기대하고 있고, 손 전 대표는 국민주권개혁회의 회원들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당의 이런 기대와 달리, 이번 경선에 회의적인 시각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정가는 국민의당의 경선에서 후보들간의 경쟁이 연대론에 매몰되면서 경선붐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국민의당 경선 3차 방송토론에서도 ‘연대론’을 두고 후보 간 공방이 다시 반복됐다. 자강론과 독자 노선을 고수하는 안철수 후보에 맞서 손학규·박주선 후보가 나란히 ‘대선 전 연대’로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대선이 48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지엽적인 정치 논쟁에 매몰된 나머지 국가적 미래비전 제시 등 정책 검증이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젊은층의 참여여부도 미지수다. 국민의당의 이번 경선에는 후보들간의 입장차로 인해 모바일투표가 무산됐다. 이로 인해 투표 참여가 저조할 경우,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난과 함께 흥행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서울=고주영·김주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